Better than
유니세프 아동권리협약은 전문과 54개 조항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유엔아동권리협약에는 이 세상 어린이라면 누구나 마땅히 누려야 할 생존·보호·발달·참여의 권리가 담겨 있습니다.
1996년 이스탄불에서 인류 거주 문제에 대한 제2차 유엔정주회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회의에 모인 각국 대표는 ‘아동의 안녕’이야말로 건강한 도시, 민주적 사회, 굿 거버넌스의 평가지표이며, 도시의 아동들이 보다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 지방정부, 지역사회, NGO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유니세프의 제의를 결의안으로 채택하였습니다. 이것이 아동친화도시의 탄생입니다.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통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지역사회의 모습은 무엇일까요? 아동친화도시 비전은 아래 5가지 목표 달성을 통해 실현됩니다.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5대 목표는 유엔 아동권리협약에 담긴 아동의 권리를 반영하고 있으며,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를 조성하는 모든 지방 정부가 달성해야 할 내용입니다.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가 되기 위한 요건은 무엇일까요? 유니세프는 2004년 아동친화도시의 구성요소를 처음으로 제시했습니다. 이 10가지 구성요소는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갖춰야 할 필수 요소입니다. 이 구성요소들은 각각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지방정부의 거버넌스가 아동친화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합니다.